중국기업 R&D 투자 급증…"4차 산업혁명 선제대응"
송고시간2019-02-11 11:21
EU집행위 발간 '2017 산업 R&D 투자 스코어보드'…전년보다 中기업 20개↑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중국 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가 무서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의 '중국제조 2025' 전략과 4차 산업혁명 대응에 위협을 느끼고 무역전쟁을 벌이는 배경을 짐작하게 하는 대목이다.
11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2018 산업 R&D 투자 스코어보드'에서 2017회계연도 R&D 투자액의 상위 10개국 순위는 대체로 큰 변화가 없으나 중국 기업들의 상승폭은 최근 몇 년 사이 두드러졌다.
R&D 투자 상위 글로벌 1천대 기업 중 중국 기업 수는 전년 대비 20개 늘어난 120개였다.
특히 미중 무역분쟁의 틈바구니 한가운데에 있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華爲)는 2017년 113억 유로(약14조4천억원)를 R&D에 투자해 세계 5위에 올랐다.
중국의 3대 인터넷 서비스 업체인 바이두(27.2%), 알리바바(33.4%), 텐센트(33.4%) 등은 2017년 두 자릿수의 R&D 투자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중국 내 주요 기업들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기술 선점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산업기술진흥원은 분석했다.
2017년도 R&D 투자액 기준 세계 1위는 134억 유로를 투자한 삼성전자였으며, 국내 기업수는 작년과 동일한 25개로 총 267억 유로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 기업이 319개로 가장 많았고, 투자액 역시 2천520억 유로로 글로벌 1천대 기업 전체의 37.9%를 차지했다.
산업별로는 '의약&생명공학'이 전체의 18.9%로 가장 많이 차지했다.
미국, 일본, 중국은 특정 산업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 골고루 투자한 데 비해 한국은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각각 포함된 '전기·전자장비'와 '자동차&부품' 분야에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R&D투자 대비 고용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한국 기업의 고용증가율은 3.72%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국가별 전년대비 고용증가율은 프랑스가 4.22%로 가장 높았고 한국, 독일, 미국, 일본, 중국 순이었다.
글로벌 기업 평균 고용인력은 4만3천677명으로 전년대비 1.74% 증가했다.
고용 증가율이 가장 높은 산업 분야는 '소프트웨어&컴퓨터서비스'로 전년대비 5.77%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고용은 증가하였고, R&D 투자와 고용 모두 증가한 산업은 ICT 산업, 자동차 산업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컴퓨터서비스' 분야의 기업수는 10년 전 대비 약 2배(54개)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분야로 알파벳(구글 지주회사),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의 기업이 주도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글로벌 1,000대 기업 국가별 기업수(개)
순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국가 | 개수 | 국가 | 개수 | 국가 | 개수 | 국가 | 개수 | 국가 | 개수 | |
1 | 미국 | 326 | 미국 | 334 | 미국 | 351 | 미국 | 345 | 미국 | 319 |
2 | 일본 | 168 | 일본 | 159 | 일본 | 159 | 일본 | 157 | 일본 | 153 |
3 | 독일 | 76 | 중국 | 80 | 중국 | 89 | 중국 | 100 | 중국 | 120 |
4 | 프랑스 | 52 | 독일 | 70 | 독일 | 70 | 독일 | 68 | 독일 | 69 |
5 | 영국 | 52 | 영국 | 54 | 영국 | 49 | 영국 | 55 | 영국 | 56 |
6 | 중국 | 46 | 프랑스 | 49 | 프랑스 | 41 | 프랑스 | 36 | 프랑스 | 44 |
7 | 대만 | 31 | 대만 | 33 | 대만 | 32 | 대만 | 31 | 대만 | 32 |
8 | 스위스 | 29 | 스위스 | 29 | 스위스 | 30 | 스위스 | 28 | 한국 | 25 |
9 | 한국 | 24 | 한국 | 22 | 네덜란드 | 21 | 한국 | 25 | 스위스 | 25 |
10 | 네덜란드 | 20 | 네덜란드 | 22 | 한국 | 20 | 네덜란드 | 21 | 네덜란드 | 23 |
sungji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9/02/11 11:21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