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北美정상회담 D-10…'아직은 백지' 합의문 어떻게 채워지나
-
[불안한 세입자] "전세금 돌려달라" 늘어나는 주택임대차 분쟁
-
[자영업부채] 연체율 '적색등'…경제활동 많은 30~40대 타격
-
사법농단수사 막바지…차한성 등 전현직 대법관 기소여부 '촉각'
-
화요일 출근길 서울에 큰 눈 가능성…전국에 눈비
-
[외신속 3·1 운동] 美 타임스스퀘어에 울려퍼진 독립선언
-
'손석희 19시간 조사' 경찰 수사속도…"프리랜서 기자 곧 소환"
-
민주 "한국당, 망언 3인방 단죄해야…그게 국회 경색 푸는 출발"
-
황교안 '당내 통합' 오세훈 '중도 확장' 김진태 '선명 우파'
복원 43년만에 활짝 열린 경복궁 서문 영추문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경복궁 서문인 영추문(迎秋門)이 복원 43년 만에 활짝 열렸다.
문화재청은 6일 오전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 지방자치단체 관계자를 초청해 영추문 개방 기념행사를 열고 1975년 복원 이후 최초로 전면 개방했다.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오늘 드디어 영추문이 빗장을 열게 됐다"며 "이제 경복궁 출입문은 광화문, 신무문, 국립민속박물관 출입문까지 네 곳이 됐다"고 말했다.
정 청장은 "서촌 지역 시민과 관람객은 더 편리하게 경복궁을 오갈 수 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영추문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주로 출입한 문으로, 연추문(延秋門)이라고도 한다. 송강 정철(1536∼1593)이 '관동별곡'에서 "연추문 드리다라 경회남문 바라보며 하직하고 물러나니"라고 노래한 곳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됐다가 19세기 중반에 경복궁이 중건되면서 다시 지어졌으나, 1926년 전차 노선이 만들어진 뒤 석축(石築)이 무너지면서 철거됐고, 1975년에 다시 세웠다.
현대에 재건한 영추문은 한시적으로 퇴장객에 한해 통행을 허용했으나, 입장객을 받아들이기는 처음이다.
이로써 경복궁에서는 삼청로 쪽으로 난 동문인 건춘문(建春門)만 미개방 문으로 남았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아직 건춘문 개방 계획은 없다"며 "향후 국립민속박물관이 경복궁 복원계획과 맞물려 이전하면 현재 출입문을 폐쇄하고 건춘문을 여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추문을 원위치인 남쪽 45m 지점으로 복원하는 데 대해 "2030년에 시작해 2040년에 마무리하려고 한다"며 "그때가 되면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영추문 현판을 복제해 다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psh59@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18/12/06 18:00 송고

많이 본 포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