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문대통령 '5·18망언' 작심비판…민주주의·역사인식 원칙 강조
-
내일 '우수' 큰 눈…서울 등 중부 최고 10㎝ 넘을 수도
-
베트남서 한국 관광객 탄 버스, 트럭과 충돌…11명 부상
-
"北美정상, '비핵화' 정의부터 명확히…모호성 제거가 급선무"
-
최종구 "역전세, 집주인이 해결할 일…집값 더 안정돼야"
-
'車관세 보고서' 어떤 영향 미칠까…국내 자동차업계 '촉각'
-
경사노위, 탄력근로제 마지막 회의 시작…합의 도출 어려울 듯
-
문대통령, 故김용균 부모 만나…"죽음 헛되지 않게 모두 노력"
-
황교안 "맏형처럼 끌어안겠다" vs 오세훈 "저를 버리지 말라"
무안공항 연간 이용객 개항 이후 첫 50만 명 돌파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전남 무안국제공항 연간 이용객이 국제선 다양화로 고공행진을 거듭하면서 개항 이후 처음으로 50만 명을 돌파했다.
3일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48분 일본 오사카에서 출발한 항공편이 도착하면서올해 무안공항 이용객이 50만명을 넘어선다.
연간 이용객 50만명 돌파는 2007년 개항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지난해 연간 이용객은 29만명에 그쳤다.
무안공항 이용객은 2021년 광주·무안공항 통합을 앞두고 정기노선 신규 취항과 증편 운항이 잇따르면서 공항이용객도 급증했다.
전남도는 그동안 국적 항공사와의 지속적 협의를 통해 국내선 제주 1개 노선, 국제선 상하이·오사카·기타큐슈·오이타·타이베이·방콕·다낭·세부·코타키나발루 등 9개 노선을 유치했다.
내년에는 더욱 다양한 노선이 신규 취항할 전망이다.
전남도는 이용객 증가에 발맞춰 다양한 편의 시책도 마련했다.
농협과 협의를 거쳐 환전소 운영 시간을 야간·토요일까지 확대 운영한다.
이용객 공항 접근성 개선을 위해 내년 1월부터는 광주·목포에서 출발하는 노선버스를 1시간 30분 간격으로 정기 운행하고, 마지막 도착 항공기 운항 시간까지 노선버스를 연장 운행한다.
공항 통합에 대비한 기반·편의시설도 확충하고 있다.
활주로 연장에 필요한 사업비 확보 노력, 이용객을 위한 기반시설 조기 확충, 면세점 등 각종 편의시설 확대, 훈련용 항공기 이전 등을 국토교통부·한국공항공사와 협의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도 연말까지 국제선 수화물 벨트 증설 등이 포함된 무안공항 개발 로드맵 수립 용역을 완료한다.
전남도는 2021년 공항 통합 이전에 필요한 시설이 모두 확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광주 민간공항을 2021년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하기 위한 준비절차도 단계별로 진행하고 있다.
김정선 전남도 건설교통국장은 "연말까지 역대 최다인 56만~60만 명이 무안공항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용객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관계기관과 긴밀한 협조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12/03 11:46 송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