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여야 3당 원내대표, 국회정상화 합의 불발…'2월국회 개최' 진통
-
김정은 평양~하노이 어떻게 갈까…전용기·임대·기차 '분분'
-
'얼어붙은 주택시장' 1월 거래량 5만건…작년 대비 28.5%↓
-
2022년부터 경찰 순경공채 필기시험 고교과목 삭제…헌법 추가
-
스텔라데이지호 '블랙박스' 찾았다…항해기록저장장치 회수
-
문의장 "코너 몰린 아베, 정략적 사고…위안부 문제 쟁점화"
-
'마약 투약' 버닝썬 직원 구속…'유통 의혹' 중국 여성 출국정지
-
딸기·김치·라면 '쑥쑥'…1월 농식품 수출 역대 최고치
-
문대통령, 오늘 김용균씨 유가족 만나고 7대종단 지도자 오찬도
5G 이동통신 국제표준 공표…상용화 가속(종합)
![[그래픽] 5G 이동통신 국제표준 공표, 상용화 가속](http://img8.yna.co.kr/etc/graphic/YH/2018/06/14/GYH2018061400240004400_P2.jpg)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차세대 이동통신 5G에 대한 국제 표준이 완성됐다.
![3GPP 총회, [SK텔레콤 제공]](http://img9.yna.co.kr/etc/inner/KR/2018/06/14/AKR20180614103451017_02_i_P2.jpg)
14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이날 미국 라호야에서 개최된 3GPP(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 80차 무선총회에서 3GPP 및 글로벌 통신사,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스마트폰 제조사 등 50여개 업체가 5G 국제 표준을 발표했다.
이번 5G 국제 표준은 이동통신 데이터 송·수신 모든 영역을 5G로 처리하는 '단독모드(SA·Standalone)' 규격을 포함한다. 작년 12월 승인된 5G 종속모드(NSA·Non-Standalone)는 기존 LTE 망과 5G 망을 함께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고, SA는 5G만 이용한 기술이다.
5G 국제 표준이 완성됨에 따라 5G 상용 단말·장비 및 네트워크 구축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전 세계 통신사와 제조사는 3GPP가 정한 글로벌 표준 규격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 등의 상용 장비를 만들게 된다.
SK텔레콤[017670]은 이날 표준 공표 후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가 빔포밍·대용량 다중입출력장치 등 전파 송수신 기술, 네트워크 가상화, 대용량·초저지연 데이터 전송 기술 등 5G 기술을 3GPP 회원사에 공유하며 표준 완성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 박진효 ICT기술원장은 "세계 이통사, 제조사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5G 글로벌 표준이 적시에 완성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5G 생태계에 참여하는 모든 회사들과 함께 모바일 혁신을 이끌어 가겠다"고 밝혔다.
![3GPP 총회, [KT 제공]](http://img0.yna.co.kr/etc/inner/KR/2018/06/14/AKR20180614103451017_01_i_P2.jpg)
KT[030200]는 이번 총회에서 28㎓ 주파수 대역 연구보고서 최종본을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5G 종속모드와 단독모드 주파수 기술이 총 망라됐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5G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인 28㎓ 대역이 세계 최초의 5G 초고주파 표준 대역으로 정식 인정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KT 측은 설명했다.
KT는 같은 회의에서 한국의 5G 상용 주파수인 3.5㎓와 28㎓간 연동기술 표준도 우리나라 사업자를 대표해 제안했다.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서창석 전무는 "KT는 기술 표준 외에도 상용 기술 등 5G 기술 전 영역에 있어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KT는 5G 기술력을 기반으로 2019년 3월 세계 최초 5G 상용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srcha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06/14 14:43 송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