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트럼프 "제재 풀려면 北이 뭔가해야…마지막 회담이라 생각안해"
-
베일벗은 갤럭시S10…초음파 지문스캔·역대최강 AI기능 총집합
-
당진 현대제철서 외주업체 근로자 컨베이어벨트에 끼여 숨져
-
文, 5·18 망언 또 비판 "분노 느껴…폄훼시도에 맞설 것"
-
육체노동 정년 30년 만에 '60→65세' 올리나…대법 오늘 결론
-
[3ㆍ1운동.임정 百주년] "증언해줄 후손ㆍ친척 없으면 잊혀"
-
전국에 미세먼지 '나쁨' 습격…일부 지역은 '매우나쁨'까지
-
日외무상, 문의장에 "한일의원연맹회장 역임한 인간이" 막말
-
오늘 고위 당정청회의…3.1운동 기념사업·북미정상회담 논의
"텐센트, 사드 제재로 한국산 게임 승인 지연돼 타격"
(서울=연합뉴스) 문정식 기자= 중국의 IT 대기업인 텐센트가 사드 보복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텐센트는 한국의 인기 PC 게임인 '플레이어언노운 배틀그라운드(PUBG)'의 판권을 사들여 중국에서 모바일 버전으로 출시했으나 당국의 승인이 미뤄지고 있어 제대로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텐센트는 지난해 11월 개발사인 블루홀로부터 PUBG 판권을 확보한 뒤 이를 기반으로 한 2종의 모바일 게임을 올해 1월과 2월에 각각 선보였다. 게임은 무료로 이용토록 하되 아이템 판매를 통해 매출을 올릴 계획이었다.
하지만 게임을 출시한 이후 지금까지 당국의 승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텐센트는 아이템을 전혀 판매할 수 없는 상태다. 텐센트의 고위 관계자들은 승인이 지연되는 이유를 공개적으로 거론하지는 않고 있다.
마틴 라우 사장은 17일 컨퍼런스 콜에서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당국의 승인을 얻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면서 매출 없이 게임을 운영하는 한 실적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통한 소식통들은 텐센트가 겪는 어려움이 사드 보복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승인 절차를 잘 아는 한 소식통은 텐센트가 한국 기업으로부터 판권을 사들인 것이 빌미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제임즈 제공]](http://img9.yna.co.kr/etc/inner/KR/2018/05/18/AKR20180518056300009_01_i_P2.jpg)
게임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나 당국 웹사이트 자료를 보면 실제로 지난해 3월부터 중국에서는 한국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게임이 전혀 승인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중국 정부가 한국산 콘텐츠의 차단을 공식적으로 시인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애널리스트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한국 드라마와 K팝의 신작 출시가 줄어들고 한국산 자동차의 판매가 감소한 데서 그 영향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슈퍼데이터 리서치에 따르면 PUBG는 지난해 최고의 판매 기록을 세운 프리미엄 PC 게임이다. 판매가는 개당 30달러로, 4월 현재 10억 달러를 벌어들였다.
PUBG는 텐센트의 게임 사업 전략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이 이 회사 고위 관계자들의 말이다. 텐센트는 모바일 버전 외에 PC 버전도 준비 중이다.
텐센트 고위 관계자들은 아이템 판매가 이뤄지기 전에 일단 사용자 기반을 구축하는 데 주력하길 바란다고 밝혀왔다.
텐센트 측은 17일 컨퍼런스콜에서 모바일 버전 2종의 활성 이용자는 하루 5천만 명이며 이 가운데 4천만 명이 중국인이라고 공개했다.
jsmoo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8/05/18 10:26 송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