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한중관계 복원] '사드 갈등' 일지

송고시간2017-10-31 10:24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서울=연합뉴스) 이상현 기자 = 외교부는 31일 오전 10시 홈페이지를 통해 한중간 진행돼온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등과 관련한 협의 내용을 담은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 결과' 보도자료를 게재했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 시절인 작년 7월 정부의 사드 배치 공식 발표 이후 본격화된 중국의 보복성 조치와 그것을 둘러싼 양국 정부의 갈등은 일단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게 됐다.

다음은 한중 사드 갈등 관련 주요 일지.

◇ 2014년

▲ 6월 3일 = 커티스 스캐퍼로티 당시 한미연합사령관, 한국국방연구원(KIDA) 국방포럼 조찬 강연서 "사드, 한국 전개 요청했다" 발언

◇ 2015년

▲ 2월 4일 = 창완취안(常萬全) 중국 국방부장, 한중 국방 장관회담서 사드 우려 표명

▲ 3월 9일 = 국방부 "사드 구매 계획 없다…독자 방어체계 구축"

▲ 3월 11일 = 청와대, 사드 관련 '3No'(요청·협의·결정 없음) 입장 재확인

▲ 4월 17일 = 미 태평양 사령관, 상원 청문회서 "한반도에 사드 포대 배치 논의 중"

▲ 5월 21일 = 국방부 "미국이 요청하면 사드 배치 협의할 것"

▲ 5월 31일 = 쑨젠궈(孫建國) 중국군 부총참모장,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양자회담서 사드 배치 우려 표명

◇ 2016년

▲ 1월 13일 = 박근혜 대통령, 신년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서 "안보·국익 따라 사드 배치 검토"

▲ 2월 7일 = 한미, 북한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후 사드 배치 공식 협의 결정 발표

▲ 2월 11일 =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 뮌헨 안보회의서 윤병세 외교부 장관에 사드 배치 논의 불만 표출

▲ 2월 15일 = 중국 외교부, 사드 한반도 배치 "결연한 반대"

▲ 2월 22일 = 국방부 "공동실무단 구성·운영 협의 진행 중" 발표

▲ 3월 4일 = 사드 배치 논의 위한 한미공동실무단 약정 체결 및 공식 출범

▲ 3월 31일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미중 정상회담서 "사드 한국 배치 단호히 반대"

▲ 7월 8일 = 한미, 사드 배치 결정 공식 발표

▲ 7월 13일 = 국방부, 사드 배치 부지(경북 성주 성산리) 공식 발표

▲ 8월 29일 = 한미공동실무단, 성주포대 제외 제3부지 3곳(성주골프장, 염속봉산, 까치산) 현장 실사

▲ 9월 30일 = 국방부 "성주골프장에 사드 배치" 발표

▲ 11월 4일 =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사드, 8∼10개월 내 전개"

▲ 11월 16일 = 국방부, 롯데와 남양주 군용지-성주골프장 맞교환 합의

◇ 2017년

▲ 2월 28일 = 국방부, 롯데와 사드 부지 교환계약 체결

▲ 3월 1일 = 한민구 장관, 제임스 매티스 미 국방부 장관과 전화 대담, 사드 '조속한 작전운용' 합의

▲ 3월 6일 = 미군 C-17 수송기로 오산기지 사드 발사대 2기 도착

▲ 3월 17일 =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 방한 기자회견서 "중국의 사드 보복 자제 촉구"

▲ 4월 10일 =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서 사드 반대 입장 재확인

▲ 4월 19일 = 한미일 국방당국 3자 안보회의(DTT)서 "사드 배치는 북핵 방어조치, 중국 보복 중단해야" 촉구

▲ 4월 20일 = 한미,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따른 사드 부지 공여 절차 완료

▲ 4월 26일 = 주한미군, 성주골프장에 사드 발사대 2기 등 일부 장비 반입

▲ 6월 5일 = 청와대 민정수석, 사드 발사대 반입 보고 누락 진상조사 결과 대통령에 보고

▲ 7월 28일 = 북한, 화성-14형 2차 시험발사

▲ 7월 29일 = 문재인 대통령, 미국 측과 사드 잔여 발사대 임시배치 협의 지시

▲ 9월 4일 = 환경부, 사드 기지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서에 '조건부 동의' 결정

▲ 9월 7일 = 국방부, 사드 잔여 발사대 4기 임시배치 완료

▲ 9월 28일 = 문재인 대통령 "중국 관계 복원은 우리 입장에서 대단히 중요"

▲ 9월 29일 = 추궈훙 주한중국대사 "양국 관계개선, 고위급 신뢰회복이 우선"

▲ 10월 10일 = 노영민 신임 주중 한국대사 부임

▲ 10월 13일 = 한중 통화스와프 만기 연장

▲ 10월 18~24일 = 중국 제19차 당대회

▲ 10월 24일 = 한중 국방장관 회담 필리핀서 개최

▲ 10월 25일 = 문재인 대통령, 시진핑 주석에 축전 "가까운 시일 내에 만나자"

▲ 10월 26일 = 중국서 한국 단체관광 상품 7개월만에 등장

▲ 10월 29일 = 왕이 중국 외교부장 "한중관계 진전 기대"

▲ 10월 30일 = 강경화 외교부 장관 "한중관계 발전 위해 조만간 사드 관련 좋은 조치 있을 것"

▲ 10월 30일 = 중국 외교부 "사드 반대하나 조속한 한중관계 안정·건강궤도 원해"

▲ 10월 31일 = 한중,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 결과' 발표

[그래픽] 한중 사드 갈등 관련 주요 일지
[그래픽] 한중 사드 갈등 관련 주요 일지

(서울=연합뉴스) 반종빈 기자 = 외교부는 31일 오전 10시 홈페이지를 통해 한중간 진행돼온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문제 등과 관련한 협의 내용을 담은 '한중 관계 개선 관련 양국간 협의 결과' 보도자료를 게재했다.
bjbin@yna.co.kr

배치 공사 끝난 사드 기지
배치 공사 끝난 사드 기지

(성주=연합뉴스) 김준범 기자 = 12일 경북 성주 사드 기지에서 발사대가 하늘을 향하고 있다. 주한미군은 사드 발사대 6기 배치 공사를 끝내고 사실상 작전운용에 들어갔다. 2017.9.12
psykims@yna.co.kr

청, "내달 베트남 APEC서 한-중 정상회담 개최 합의"
청, "내달 베트남 APEC서 한-중 정상회담 개최 합의"

(서울=연합뉴스) 김주형 기자 = 남관표 국가안보실 2차장이 31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한중 관계 개선을 위한 양국 협의결과와 관련, "이번 APEC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밝히고 있다. 2017.10.31
kjhpress@yna.co.kr


hapyry@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