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독일 연방과 각 주(州) 정부 내무부 장관들이 범죄 용의자나 테러 위험자 조사에서 메신저 사찰을 허용하기로 했다.
이들 장관은 14일(현지시간) 드레스덴에서 안보와 치안 강화를 위한 대책회의를 열어 이같이 합의했다고 슈피겔온라인이 보도했다.
![독일 메르켈 총리와 협의하는 데메지에르 내무장관 [EPA=연합뉴스 자료사진]](http://img7.yna.co.kr/etc/inner/KR/2017/06/15/AKR20170615174900082_01_i_P2.jpg)
토마스 데메지에르 연방 내무장관은 합의 배경을 전하면서 "형사범죄를 단죄하는 데 있어서 초법 공간을 허용해선 안 된다"라고 말했다.
독일은 그동안 전화와 단문메시지서비스는 감시 대상으로 허용했지만, 메신저서비스는 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들 장관은 또한, 이슬람 극단 위험세력에 대해서는 연방범죄수사국(BKA) 차원에서 새로운 분석모델을 들이는 등 대응 수준을 높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연방과 주 정부가 합동 대테러센터에서 필요한 조처를 협의하고 긴밀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이들은 아울러, 망명신청자들의 신분 확인을 강화하려고 망명을 신청한 6∼14세 아동과 청소년들의 지문을 채취하기로 했다.
인권을 앞세우는 야당인 좌파당은 이 합의에 대해 "자료만 모아댄다고 안보가 증진되는가"라고 반문하고 "불필요한 입법 강화"라고 비판했다.
un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06/15 17:18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