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교통사고, 절반은 뛰어가다…5월에 최다 발생"
송고시간2016-05-04 15:04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분석…"학년별 안전 교육 필요"

어린이의 보행 중 교통사고는 절반 이상이 뛰어가던 중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보험사와 경찰청 자료를 토대로 어린이 교통사고 실태와 통행특성을 분석한 결과, 2014∼2015년 삼성화재에 접수된 310건의 어린이 교통사고 중 뛰어가다가 사고를 당한 경우는 51%, 자전거 탑승 중 당한 사고는 34%에 달했습니다. 또 1년 가운데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외출이 상대적으로 많은 5월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어린이의 보행 중 교통사고는 절반 이상이 뛰어가던 중 발생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최근 2년간 삼성화재에 접수된 자동차와 보행자 사고 중 어린이의 사고영상이 있는 모든 건과 최근 6년간의 경찰청 집계 교통사고를 분석한 '어린이 교통사고 실태와 통행특성 분석' 결과를 4일 발표했다.
2014∼2015년 삼성화재에 접수된 310건의 어린이 교통사고 동영상을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 가운데 뛰어가다가 사고를 당한 경우는 51%였다.
자전거 탑승 중 당한 사고도 34%에 이르렀다.
또 어린이들은 좌우를 살피지 않고 전방만 주시하고 통행(34.5%)하거나 반대 방향의 차량만 확인하고 횡단(9.7%)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린이 54.8%는 이면도로(주택가 등 편도 1차로 이하)에서 사고를 당했고, 아파트단지 주차장에서의 사고도 13.5%를 차지했다.
연구소가 2010∼2015년 경찰청 집계 교통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13세 미만 어린이 사망자는 지난해 13명으로 1년 새 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 중 사망자는 18명으로 75% 증가했다.
보행 중 사망한 어린이의 26.5%, 부상자의 31.3%가 횡단보도에서 사고를 당했다.
1년 가운데 어린이 교통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5월이었고, 하굣길(14∼16시)와 방과 후(16∼20시)에 사상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연구소는 또 유치원생,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1천242명을 대상으로 어린이 교통안전 의식 조사도 시행했다.
학부모의 64%는 어린이 교통사고의 가장 큰 책임이 운전자에게 있다고 응답했으며, 정부(21%), 부모(9%), 어린이(5%) 등이 뒤를 이었다.
어린이 사고 예방을 위해 가장 시급한 일로는 도로환경개선(30.2%), 운전자들의 안전운전(26.6%), 난폭운전 단속·처벌 강화(16.6%), 어린이 안전교육 강화(15.4%) 등이 꼽혔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박가연 책임연구원은 "어린이들은 주변의 위험을 인식하기 어렵고, 위험에 직면하면 회피하는 능력이 취약해 사고 위험이 크다"며 "운전자 교육은 물론이고 어린이들에게도 학년별로 교통안전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sncwoo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6/05/04 15:04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