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투표소 '문턱' 장애인에겐 여전히 높아…접근성 등 취약

송고시간2016-04-14 15:30

장애인단체 "장애인의 날 앞두고 사회적 약자 권리보장 방안 필요"

(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과정에서 투표소 접근 불편과 후보들 무관심 등 장애인에 대한 '선거 푸대접'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는 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정치권이 사회적 약자들의 권리보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14일 ㈔경남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에 따르면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지난 13일 도내에서 투표하기가 힘들었다는 일부 장애인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단체 회원은 학교에 설치된 한 투표소를 찾았다가 휠체어가 통과할 수 있는 출입로가 잠겨 있어 투표 사무원에게 이의를 제기하자 그제야 문을 열어줬다고 전했다.

언어 및 지적장애가 있는 회원은 후보자 이름을 알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투표 사무원이 '왜 그래야 하냐'고 되묻는 일도 있었다고 장애인권리옹호네트워크는 소개했다.

이 단체는 선거일에 앞서 장애인 참정권 보장을 위해 도내 투표소 편의 제공 모니터링을 했다.

도내 22개 시·군·구 170개 투표소를 표본으로 정해 시행한 결과 10곳 중 3곳이 장애인 접근에 취약했다.

4곳 정도는 화장실 이용도 어려웠다.

투표소가 2층에 있거나 계단 때문에 휠체어로 접근하기 어렵거나 건물 출입구가 휠체어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폭이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장애인 권리문제에 대해 이번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은 무관심했다.

경남장애인차별철폐연대는 선거를 앞두고 도내 총선 후보자 53명에게 장애인 권리보장과 관련한 정책질의서를 전달했다.

주로 장애인 교육권 확보, 교통약자 이동권 확보, 장애인 권리보장법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 대한 후보자들의 견해를 물었다.

이 결과 20명(37.7%)이 답변을 하지 않았다.

이 단체는 "후보들이 답변하지 않은 것은 장애인 정책에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며 "국회의원은 소외계층과 약자에 대한 정치적 신념과 소신이 있어야 하는데 장애인 정책에 무응답 하는 태도는 도민을 우롱하는 처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장애인도 차별 없이 평등하게 살 수 있도록 사회적 약자 권리를 보장하는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bong@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