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연합뉴스 최신기사
뉴스 검색어 입력 양식

정부, 내주 초 메르스 '사실상 종식' 선언할 듯(종합2보)

송고시간2015-07-24 18:23

이 뉴스 공유하기
본문 글자 크기 조정

총리 주재 대책회의 후 '일상복귀' 대국민 메시지 발표 예정경보 수준은 마지막 환자 완치 전까지는 '주의' 단계 유지 전망

정부, 내주 초 메르스 '사실상 종식' 선언할 듯(종합2보) - 1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이한승 전명훈 기자 =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인한 자가격리자가 모두 해제되는 다음 주 초 사실상의 메르스 종식 선언을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국무총리실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28일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를 열어 국민에게 '일상생활로 돌아가달라'는 메시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27일 0시를 기해 마지막 메르스 격리자가 해제되는 만큼 더이상 메르스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에 따라 공식적인 종식 선언이 이뤄지기까지 철저하게 방역 체계를 점검하고, 후속 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앞서 WHO는 최종 환자의 메르스 완쾌(유전자 검사 2차례 음성 판정) 시점으로부터 28일 후에 메르스 종식을 선언할 것을 권고했으며 한국 정부는 이를 따르기로 한 바 있다. 아직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지 못한 환자가 1명 남아있어 공식 종식 선언 시점은 다음 달 하순 이후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추가경정 예산안이 통과된 만큼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메르스 관련 예산을 집행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황 총리가 메르스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건 지난 13일 이후 16일만이다.

황 총리는 취임 첫날인 지난달 18일부터 메르스 대책회의를 주재했지만, 지난 13일 메르스 사태가 소강 상태에 접어들면서 회의 주재를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넘겼다.

정부 관계자는 "WHO의 기준에 맞춰 과학적이고 의료적인 종식 선언을 하더라도 그 이전에 국민에게 '우려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줄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메르스 격리 병원도 모두 해제됐고, 일부 환자가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지만, 통제 가능한 범위 안에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여러 부처가 집중적으로 메르스에 대응하고 있는 현 체계를 유지할지, 아니면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를 축소 운영할지에 대해서도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사실상의 '종식 선언'을 준비하고 있지만 감염병 위기단계는 한동안 계속 '주의' 단계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방역당국은 1번 환자(68)의 확진 판정 다음날인 5월21일 감염병 위기단계를 '관심'에서 '주의'로 격상시켰다. 감염병 위기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 등 4단계로 나뉜다.

복지부 관계자는 "아직 메르스 환자가 남아있는 상황인 만큼 이 환자가 메르스에서 완치 판정을 받기 전에는 '주의' 단계가 유지될 것"이라며 "다만 격리자수가 '0'명이 되면 현재의 '심각급 주의 단계'를 통상적인 '주의'단계로 낮추는 것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방역당국이 '치료 중'이라고 발표한 환자는 모두 12명이다. 이 중 11명은 2차례에 걸친 메르스 유전자 검사(PCR)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아 사실상 완치 판정을 받은 상태다.

나머지 1명의 환자는 유전자 검사에서 음성과 양성 판정이 번갈아가면서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방역당국은 환자가 1명이라도 있다면 위기단계를 '주의'로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jesus7864@yna.co.kr

댓글쓰기
에디터스 픽Editor's Picks

영상

뉴스
오래 머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