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기술 창업·사업화 지원…기업 생존율 높인다
송고시간2015-01-15 10:00
중기청, 스타트업 밸리 구축·도약기 기업 지원강화

(서울=연합뉴스) 중소기업청은 15일 '2015년 새해 업무보고'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선순환 벤처·창업 생태계 정착을 위해 기술창업자 5천 명 양성, 스타트업 밸리 조성, 손쉬운 창업환경 조성 등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2015.1.15 << 중소기업청 제공 >>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정부는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촉진하고 도약기 단계의 기업 지원을 강화, 창업 활성화와 창업 기업 생존율 제고에 주력키로 했다.
이를 위해 중소기업청은 기술창업과 벤처투자가 결합한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제품의 사업화 과정을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신설하기로 했다.
◇ 하이테크 창업캠퍼스 신설…고급 기술창업 촉진 = 정부는 창업의 질(質)을 높이기 위해 서울 테헤란로 일대에 벤처·창업 클러스터인 '하이테크 창업 캠퍼스'를 설치한다.
1만㎡ 규모로 조성될 이곳에는 창업자와 투자자를 함께 입주시켜 양자 간 화학적 결합을 촉진할 계획이다.
특히 미국의 실리콘 밸리식의 창업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아산나눔재단의 '마루180', 은행권청년창업재단의 '디캠프', '구글 캠퍼스',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등의 벤처·창업 지원기관과 연계해 국내·외 민관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방침이다.
중기청은 또 고급 기술인력의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현행 국·공립 대학교원 및 정부출연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한정한 휴·겸직 창업특례 기관에 정부 재투자 기관을 포함하고, 최초 휴직기간도 3+3년에서 5+1년으로 조정한다.
기술창업자 5천 명 양성을 목표로 창업선도대학 수를 21개에서 28개로 확대하고, 벤처기업과 연계한 창업인턴제를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 창업도약기 기업 지원강화…'죽음의 계곡' 극복 = 정부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도약기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기업 생존율을 높이기로 했다.
창업 기업이 기술개발 후 사업화하는 과정(창업 3∼4년차)에서 자금조달 등의 어려움에 직면(죽음의 계곡)해 창업 후 5년 생존율이 30%에 불과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특히 정부 지원도 그동안 업력 3년 미만의 창업 초기 기업에 편중돼 업력 4∼7년 기업에 대한 사각지대가 있어왔다.
이에 따라 중기청은 창업 제품을 시장수요에 맞게 고도화하도록 업력 7년 이내인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규모를 1천400억원에서 1천6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1천100억원 규모의 '창업도약 패키지 프로그램'도 신설해 '제품 디자인·금형 개선→해외 현지화 R&D→양산자금' 등의 과정을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한편, 1조4천억원의 정책자금을 창업 도약기 기업의 시설·운전자금으로 저리(3% 내외) 공급키로 했다.
이와 함께 2조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조성하고 창업에서 재투자까지 정책 목적별 펀드를 확충해 맞춤형 투자 환경을 구축하는 한편, '성실실패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실패 기업인의 재도전을 지원한다.
이밖에 방송·인터넷·모바일·오프라인을 연계한 통합 유통 플랫폼을 6월 중 개통해 혁신제품의 판로를 확보할 방침이다.
◇ 성장걸림돌 규제개선…한국형 히든챔피언 육성 = 정부는 중소기업이 중견기업, 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지원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고성장 중소기업(3년 평균 고용 또는 매출 증가율이 20% 이상인 기업) 1천500개 이상을 발굴해 수출마케팅·정책자금·R&D 등에 패키지 방식으로 3년간 1조2천억원의 정책자금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기업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중견기업 성장친화형 법령 정비방안'을 마련해 법령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한국형 히든챔피언(강소기업)을 2017년까지 100개 발굴해 집중 육성하고, 기존에 4개 사업으로 나뉘어 있던 히든챔피언 육성 프로그램을 2단계(글로벌 도약→성장)로 단순화한다. 또 3월까지 민관 합동의 '히든챔피언 지원협의체'를 구성한다.
engin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5/01/15 10:00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