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출범 D-3> 靑ㆍ내각 모두 신-구 정권 '동거'(종합)
송고시간2013-02-22 16:55
행정관급 MB참모진 당분간 잔류…내각 구성, 3월 중순 넘길 듯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22일로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새 정부의 내각은 물론 청와대도 완벽하게 진용을 갖추지 못해 '반쪽짜리' 출범이 현실화할 전망이다. 사진은 지난 12일 청와대에 만난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22일로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새 정부의 내각은 물론 청와대도 완벽하게 진용을 갖추지 못해 '반쪽짜리' 출범이 현실화할 전망이다.
국회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와 장관내정자들의 인사청문회 일정이 잇따라 지연되면서 박근혜 정부가 총체적으로 불완전하게 출범할 상황을 맞은 것이다.
업무 공백을 줄이기 위해 이명박 대통령의 청와대 비서진이 일부 잔류하고 내각에서도 이명박 정부의 각료들이 당분간 국무회의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와 내각 모두 전ㆍ현 정권의 '동거'가 불가피한 셈이다.
◇MB 靑참모진, 최대 3개월 잔류할듯 = 당장 청와대 진용이 아직 마무리되지 않은 것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3실9수석34비서관' 체제에서 실장과 수석비서관급만 결정됐을 뿐 실질적으로 청와대 업무의 주축이 되는 34명의 비서관들은 인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 측은 일단 34명의 비서관(1급)과 비서관 직속 선임행정관(2급)까지는 취임식 이전까지 인선을 마무리한다는 목표다.
허태열 비서실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일단 비서관과 선임행정관까지 모두 인선하는게 목표"라며 "그 아래 행정관도 70~80%까지는 인선이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비서관급인 대변인과 춘추관장부터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변인을 통해 박 당선인의 행보를 알리거나 춘추관에 상주할 출입기자들을 관리하는 업무가 당장 시급하기 때문이다.
대변인 후보로는 신문사 정치부 기자로 잔뼈가 굵은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 KBS 기자 출신으로 대선 중앙선대위 대변인으로 활약한 박선규 당선인 대변인, 대선캠프 공보위원으로 활동한 MBC기자 출신의 김석진 인천 남동을 당협위원장, SBS 앵커를 지낸 정성근 경기 파주갑 당협위원장이 거론된다.
박 당선인측은 청와대 참모진 인선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지만 취임식 때까지 실무 행정관 인선까지 모두 마무리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박 당선인측은 현 청와대에 "취임식 이후에도 수석실별 필요에 따라 일부 행정관들이 잔류하게 조치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본적으로는 청와대 비서진의 '원대복귀'가 원칙이지만 원활한 인수인계를 위해 일부 실무진들을 1~3개월가량 남겨달라는 것이다.
앞서 여야 정권교체를 이뤘던 이명박 인수위 때 대통령 취임식에 맞춰 청와대 직원들이 일제히 교체되면서 상당기간 업무 차질이 빚어졌던 전례를 고려한 조치다.
◇박근혜 대통령-MB 각료 당분간 동거 = 장관 내정자들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 공식 임명되는 시점도 3월 중순을 넘길 공산이 있다.
장관 내정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도 줄줄이 취임식 이후로 밀린 탓이다.
박 당선인이 지난 13일 지명한 장관 내정자 6명의 인사청문 요청이 15일에야 제출됐고, 인사청문 기간이 최장 20일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일러야 다음달 7일이 돼야 새로운 장관이 국무회의에 참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 '이명박 정부' 각료들로 새 정부 업무를 시작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정부조직개편안 처리가 계속 지연되는게 걸림돌이다.
여야는 이날도 정부조직 개편을 위한 '6인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은 23∼24일이 휴일임을 감안할 때 새 정부 출범에 앞서 정부조직 개편 협상의 사실상 마지막 시한이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늦어지면서 신설 부처인 미래창조과학부ㆍ해양수산부 장관 내정자는 국회에 인사청문 요청서도 제출하지 못하고 있다.
j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3/02/22 16:55 송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