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뉴스]
-
北김창선, 베트남 삼성전자 공장주변 점검…김정은 방문 예고?
-
5·18정국 2R…여·야3당 "한국당 조사위원 추천권 반납하라"
-
황교안 "내부총질 말라" vs 오세훈 "黃, 전작권 몰라"
-
[불안한 세입자] "전세금 돌려달라" 늘어나는 주택임대차 분쟁
-
[자영업부채] 연체율 '적색등'…경제활동 많은 30~40대 타격
-
월요일 낮부터 흐리고 남부 비…제주 최고 100㎜
-
버닝썬 마약의혹 '애나' 성추행 고소인 조사…3시간만에 귀가
-
'손석희 19시간 조사' 경찰 수사속도…"프리랜서 기자 곧 소환"
-
사법농단수사 막바지…차한성 등 전현직 대법관 기소여부 '촉각'
나로호, 발사 성공…`이젠 우주 선진국으로'(종합2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한국의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 사업에 공동 참여한 러시아 측도 30일(현지시간) 발사 성공 소식을 환영하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
yoon2@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나로우주센터<고흥>=연합뉴스) 신호경 김경윤 기자 = 우리나라가 30일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Ⅰ)가 성공적으로 발사됨으로써 '우주 선진국'을 향한 꿈을 성큼 당겼다.
이번 성공으로 우리는 자력으로 개발한 로켓을 자국 발사대에서 쏘아올려 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킨 이른바 '스페이스(우주) 클럽'에 11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고흥=연합뉴스) 한국 첫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가 30일 오후 전남 고흥군 외나로도 나로우주센터에서 우주를 향해 발사되고 있다. 2013.1.3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photo@yna.co.kr
정부는 나로호 발사 성공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될 한국형발사체(KSLV-Ⅱ)의 발사 시점을 당초 2021년에서 2018~2019년으로 2~3년 앞당기겠다는 우주개발 계획도 발표했다.
나로호는 이날 오후 4시 이륙한 뒤 54초만에 음속을 돌파했고 215초 뒤에는 예정대로 위성덮개(페어링)를 분리했으며, 232초 뒤 1단(하단) 로켓이 떨어져 나간데 이어 395초에는 2단(상단) 고체연료가 점화돼 그 추진력으로 목표 궤도에 진입했다.
이어 오후 5시26분부터 10분간 나로위성이 보내오는 비콘(beacon) 전파 신호를 노르웨이 트롬소 수신국에서 수신하는 데 성공, 목표 궤도에 진입해 정상 작동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leesh@yna.co.kr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발사 성공 직후 "각종 분석 결과 목표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는 사실을 전해드린다"며 "(최종 성공 여부는) 내일 새벽 대전에서 확인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포착된 신호를 분석한 결과 우주발사체(로켓)로서 나로호는 위성을 목표 궤도에 목표 속도(초속 8km)로 정확히 올려놓았다는 의미다.
이제 발사 12∼13시간 후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가 나로과학위성과의 교신에 성공하면 나로호 계획은 완벽한 마침표를 찍게 된다.
이처럼 위성의 정상 궤도 진입까지 거의 확정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북한에 이어 11번째 `스페이스(우주) 클럽' 회원국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김승조 항공우주연구원장은 "스페이스클럽이 공식 개념은 아니지만 궤도에 위성을 올리는 로켓을 만든 나라, 이런 측면에서는 북한이 해당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특히 러시아의 힘을 빌린 나로호와는 달리 순수 독자 기술로 개발되는 '한국형발사체(KSLV-Ⅱ)' 개발 일정을 대폭 앞당기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seephoto@yna.co.kr
김 원장은 "(당초 2021년 발사 계획인) 한국형발사체가 2018년이나 2019년 쯤에 발사되도록 계획을 잡아갈 것"이라며 "(한국형발사체에 앞서 75t급 로켓) 시험발사도 2018년에서 2016년으로 앞당기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이주호 장관은 "얼마나 빠르게 한국형발사체를 성공시킬 수 있느냐는 정부의 의지와 재정 지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나로호가 이번 정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기 때문에 다음 정부가 한국형 발사체 개발을 당길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됐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에 따라 한국형발사체 개발 계획을 전면 수정, 예산 지원 확대와 인력 확대 등 우주 강국으로서의 조기 도약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태학 한국형발사체사업단장은 31일 나로우주센터 프레스센터에서 회견을 갖고 관련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minu21@yna.co.kr
지난 2011년 말 국가우주위원회가 확정한 한국형발사체 계획에 따르면 순수 국내 기술로 로켓을 개발해 아리랑 위성과 맞먹는 1.5t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에 올려 놓게 된다.
이는 러시아에 1단(하단)부 제작을 맡긴 나로호와 달리 한국형발사체는 1단 추진체의 액체 엔진까지 자체 기술로 개발함으로써 우리의 우주 기술력이 완전한 자립을 이룬다는 의미가 있다.
3단으로 이뤄질 한국형 발사체의 길이와 무게가 각각 46.5m, 200t으로, 나로호(33m, 142t)보다 길고 더 무거우며, 1단 로켓의 추진력도 75t중(重) 엔진 4개를 묶어 300t중(重)에 이른다. 나로호(170t중)의 거의 두 배에 이르는 추진력이다.
shk999@yna.co.kr
heev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3/01/30 20:31 송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