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 잇단 가동…민간위탁↓
송고시간2013-01-20 05:45
4~5월 중랑센터 등 시설 준공…공공처리량 40%↑민간 처리량은 하루 831→437t 감소…처리비 갈등 소지는 여전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최근 서울시내 자치구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간에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싸고 갈등이 계속되면서 자칫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런던협약'에 따라 올해부터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오는 음폐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예견돼왔지만 시와 자치구가 방관하며 근본대책 마련을 미뤄온 것이 이번 갈등을 야기한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오후 서울 관악구 음식물쓰레기 중간 집하장에 처리업체가 수거해가지 않은 쓰레기들이 가득 쌓여 있다. 2013.1.20
hama@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이슬기 기자 = 최근 서울 자치구와 민간업체가 음식물쓰레기 처리비용 인상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오는 5월부터 서울의 음식물쓰레기 음폐수 공공처리 용량이 현재보다 40% 정도 늘어난다.
이에 따라 민간업체의 처리량이 현재의 절반 정도로 줄어들지만 여전히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해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갈등의 소지가 남아있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는 5월부터 인천시 백석동의 수도권매립지에 건립 중인 500t 규모의 음폐수 처리시설이 가동될 예정이다.
이 시설은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음폐수를 바이오가스로 전환하는 곳으로, 한때 재정난에 처한 인천시의 반대로 공사가 지연되다 지난해 재개돼 올해 초부터 시험 반입에 들어갔다.
시설에는 총 443억원이 들었으며 서울시가 이 중 128억원을 분담했다. 처리량은 하루 500t으로,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나오는 음폐수 각 200t과 인천시의 100t이 처리된다.
아울러 서울 중랑물재생센터의 하수연계처리시설도 4월말 공사가 완료돼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도봉ㆍ강동구의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6개 자치구의 음폐수 194t이 처리된다.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최근 서울시내 자치구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간에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싸고 갈등이 계속되면서 자칫 '쓰레기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런던협약'에 따라 올해부터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오는 음폐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갈등이 예견돼왔지만 시와 자치구가 방관하며 근본대책 마련을 미뤄온 것이 이번 갈등을 야기한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오후 서울 관악구 음식물쓰레기 중간 집하장에 처리업체가 수거해가지 않은 쓰레기들이 가득 쌓여 있다. 2013.1.20
hama@yna.co.kr
이 시설에는 사업비 28억원이 투입됐으며 투입동, 저류조, 소화조, 악취방지시설, 소각시설 등이 들어선다.
이들 2개 시설이 가동하면 서울시의 음폐수 공공처리 용량은 현재 하루 969t에서 1천396t으로 약 40% 늘어난다.
현재 서울에서는 하루에 나오는 음식물쓰레기 3천347t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음폐수 1천800t이 발생한다. 그동안 이 중 969t(54%)은 공공시설에서 처리했고, 나머지는 민간위탁업체에서 자체 처리(209t, 11%)하거나 해양배출(622t, 35%)을 했다.
그러나 두 시설이 가동되더라도 437t은 여전히 민간업체에 위탁하는 것 외에 특별한 대안이 없어 처리비용 인상을 둘러싼 민간업체와 지자체가 갈등의 소지가 큰 상태다.
'런던협약'에 따라 올해부터 음폐수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업체들은 단가 인상을 요구했고 자치구들이 이에 반대하면서 일부 업체가 음식물쓰레기 수거를 중단해 주민 불편을 초래했다.
서영관 서울시 자원순환과장은 "수도권매립지 내 시설 등 자체 처리능력을 높이는 게 업체와의 가격협상 요소가 될 수 있다"면서도 "안정적으로 장기계약을 하는 게 좋지만 통상적으로 매년 가격협상을 하게 돼있어 어려운 점이 있다"고 말했다.
lisa@yna.co.kr
wi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3/01/20 05:45 송고